반응형
제백은 두 도선의 온도차가 자기장을 만들어 낸다는 것을 발견한다.
이후 연구는 계속 진행되어, 열로 전기를 유도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, 전기로 두 도선간의 온도차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사실도 알려지게 된다.
실제로 이런 열전기술들은 보이저호와 화성탐사로봇등에 적용되어 활용되었다.
우리는 이 열전기술을 활용해서 주변의 열을 이용해서 전기발전을 한다든가, 무겁고 큰 냉장고등의 냉매제를 대체한다는가의 활용을 기대 해 볼 수 있다.
그런데 이기술을 온도자체가 아닌 온도차에 있는 것이기에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개발이 핵심이라 볼 수 있다.
우리가 활용할 수 있는 수준이 되려면 ZT값이 4이상은 되어야 하는데, 현재의 소재기술로는 ZT값이 1에 머물러 있는 상태였고, 최근 많이 연구하여 끌어올린 수치가 2정도 이다.
'그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격투기 전략 (격과서) (0) | 2022.07.09 |
---|---|
인간은 뇌의 10%만 사용한다? (과학으로 포장된 잘못된 상식) (0) | 2022.07.06 |
선택약정 할인 제도 확인하는 방법 (0) | 2022.02.15 |
영화 라스트 홈 (0) | 2022.01.16 |
자주쓰는 엑셀 함수 (0) | 2021.11.12 |
댓글